가이드

코드 스멜: 개발자 가이드

코드 스멜은 코드 내부에 숨겨진 더 깊은 문제를 암시하는 경고 신호입니다. 오류는 아니며 코드는 여전히 작동하지만, 향후 개발을 어렵게 만들고 버그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목차

  • Chevron right icon코드 스멜이란 무엇인가요?
  • Chevron right icon코드 스멜의 예시는 무엇인가요?
  • Chevron right icon코드 스멜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?
  • Chevron right icon코드 스멜을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?
  • Chevron right icon소나와 코드 스멜

코드 스멜이란 무엇인가요?

코드 스멜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코드 내 문제 유형을 의미합니다. 잠재적인 나쁜 코딩 관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고 지표와 유사합니다.

코드 스멜은 그 자체로 오류나 버그가 아니며 소프트웨어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, 개발 속도를 늦추거나 향후 버그나 실패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설계상의 취약점을 나타냅니다.

코드 스멜의 일반적인 예로는 대규모 클래스나 긴 메서드(즉, 한 함수가 너무 많은 작업을 수행하려 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긴 메서드)와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.

또 다른 예는 중복 코드입니다. 동일한 코드 조각이 여러 위치에 반복되는 경우를 말합니다.

이러한 문제들은 코드를 복잡하게 만들고, 코드베이스의 인지적 복잡성을 증가시키며,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성 문제와 기술적 부채 증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.

코드 스멜의 예시는 무엇인가요?

아래 파이썬 코드는 함수 중첩 방식 때문에 인지적 복잡성 점수가 8점입니다. 이 코드는 정상적으로 작동하지만, 수정하지 않으면 작성자, 검토자, 향후 개발자에게 불필요한 복잡성을 가중시킵니다.

def process_user(user):

    if user.is_active():             # +1 (if)

        if user.has_profile():       # +1 (if) +1 (nested)

            ... # process active user with profile

        else: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+1 (else)

            ... # process active user without profile

    else: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+1 (else)

        if user.has_profile():       # +1 (if) +1 (nested)

            ... # process inactive user with profile

        else: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+1 (else)

            ... # process inactive user without profile

코드 스멜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?

코드 스멜은 코드베이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문제의 조기 경고 신호이므로 소프트웨어 상태를 파악하는 핵심 지표입니다. 현재는 정상 작동하더라도 향후 문제가 발생할 취약점을 식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.

개발자는 코드 스멜을 포착함으로써 근본적인 설계 결함, 유지보수성 문제, 확장성 문제가 더 심각한 문제로 발전하기 전에 예방할 수 있습니다.

코드 스멜 탐지는 개발 과정에서 방해가 되고 시끄럽게 느껴질 수 있지만, 개발자가 권장되는 코딩 표준과 모범 사례를 따르도록 장려하여 개발 팀 내 고품질 코드 문화를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
리팩토링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개발자들에게 지침 개념 역할을 하여, 더 깔끔하고 모듈화되며 유지보수성 높은 코드 방향으로 이끕니다.

이와 더불어 코드 스멜은 개발자들이 소프트웨어 설계 패턴과 개념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교육 도구입니다.

개발자는 코드 스멜을 식별하고 수정함으로써 자신의 능력을 연마하고, 코드 품질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발전시키며, 코드베이스의 지속적인 개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.

개발자에게 코드 품질 문제를 논의하고 관리할 수 있는 공통 언어를 제공함으로써, 코드 스멜은 협력과 소통을 촉진합니다.

코드 스멜을 지속적으로 탐지하고 수정함으로써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는 기술적 부채를 줄이고, 장기적인 유지보수성을 높이며, 전반적인 소프트웨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
코드 스멜을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?

코드 스멜을 수정하려면 스멜의 근원을 찾고 적절한 리팩토링 기법을 활용하는 체계적인 계획이 필요합니다. 개발자는 코드베이스에 미치는 영향과 수정 시 기대되는 이점에 따라 코드 스멜의 우선순위를 먼저 정해야 합니다.

위 코드 스니펫은 불필요하게 복잡하고 코드 라인이 지나치게 많아 코드 스멜을 유발했습니다.

인지적 복잡성, 즉 “뇌 과부하”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들은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하는 시간보다 읽고 이해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만듭니다.

높은 인지적 복잡성은 변경 속도를 늦추고 유지보수 비용을 증가시킵니다.

def process_user(user):

    if user.is_active():             # +1 (if)

        process_active_user(user)

    else: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+1 (else)

        process_inactive_user(user)

def process_active_user(user):

    if user.has_profile():           # +1 (if) +1 (nested)

        ... # process active user with profile

    else: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+1 (else)

        ... # process active user without profile

def process_inactive_user(user):

    if user.has_profile():           # +1 (if) +1 (nested)

        ... # process inactive user with profile

    else: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+1 (else)

        ... # process inactive user without profile

코드를 더 작은 함수로 리팩토링하면 복잡성이 여러 함수에 분산되고 흐름의 중단이 더 이상 중첩되지 않습니다.

 def a_function():

    int = 42


또 다른 흔한 코드 스멜 예시는 내장 함수를 변수명으로 사용하는 경우입니다. 비록 숙련된 개발자에게는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나, 이렇게 사용하면 내장 함수를 원래 이름으로 접근할 수 없게 되므로 좋은 코딩 관행이 아닙니다.


def a_function():

    value = 42

이를 수정하는 올바른 방법은 적절한 변수를 사용하는 것입니다:


위에서 언급한 또 다른 예시는 코드가 너무 많은 줄을 가진 파일입니다.

소스 파일이 지나치게 커지면 수많은 책임이 누적되어 이해와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.

코드의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해 특정 기준을 초과하는 파일은 명확히 정의된 작업에 집중하는 작은 파일들로 리팩토링해야 합니다.

이렇게 작은 파일들은 이해와 테스트가 더 쉬워집니다.

코드 스멜을 유발할 수 있는 수천 가지의 문제점이 존재하며, 이를 조기에 해결하는 것이 좋은 코딩 관행을 촉진합니다.

코드 스멜이 발견되는 즉시 개발자는 코드의 외부 동작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이를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리팩토링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개발자는 코드 스멜을 유발하는 길고 복잡한 절차를 각각 특정 작업을 처리하는 더 작고 관리하기 쉬운 메서드로 분할할 수 있습니다.

코드 스멜과 리팩토링

리팩토링은 코드의 외부 동작을 변경하지 않으면서 구조를 재구성하는 과정으로, 가독성, 모듈성 및 전반적인 코드 품질 향상을 목표로 코드 스멜을 해결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.

리팩토링 과정에는 엄격한 장단점 분석이 수반됩니다. 변경 사항을 성급하게 구현하면 예상치 못한 결과나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

따라서 코드 스멜을 제거하려면 프로젝트의 목표와 제약 사항에 대한 이해와 기술적 노하우를 결합한 종합적인 전략이 필요합니다.

결국 소프트웨어 팀은 코드 스멜을 사전에 탐지하고 수정함으로써 지속적인 개선 문화를 조성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코드베이스가

유지 관리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장기적인 변경에도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.

리팩토링은 결함이나 회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포괄적인 테스트와 함께 수행되어야 합니다.

코드베이스의 가독성을 유지하고 향후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개발자는 각 리팩토링 단계의 근거를 문서에 포함시켜야 합니다.

코드 리뷰와 페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팀의 지식 공유와 리팩토링 결정의 검증이 용이해질 수 있습니다.

소나와 코드 스멜

SonarQube Server SonarQube Cloud는 개발자가 코드 스멜과 다양한 다른 문제들(버그, 보안 취약점 등)을 식별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

두 제품 모두 CI/CD 파이프라인에 기본적으로 통합되어 개발 단계 초기에 문제를 찾아 수정함으로써 프로덕션 환경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.

SonarQube Server 및 SonarQube Cloud의 동반 도구인 SonarQube for IDE는 IDE 플러그인으로,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하는 동안 코드 문제(코드 스멜 포함)를 강조 표시하여 개발자의 편집기 내에서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합니다.

  • Follow SonarSource on Twitter
  • Follow SonarSource on Linkedin
language switcher
한국인 (Korean)
  • 법적 문서
  • 신뢰 센터

© 2008-2025 SonarSource SA. 모든 권리 보유. SONAR, SONARSOURCE, SONARQUBE, CLEAN AS YOU CODE는 SonarSource SA의 상표입니다.